강아지 공복 토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 이야기해보려고 하는 내용은
강아지 공복 토 원인과 밥을 안 먹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강아지가 노란 토를 자주 한다거나 사료를 거부함에 따라 토를 자주 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봐 주세요
1. 강아지 공복 토
강아지가 노란색 거품토를 보인다면배고픔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은데요.
이는 공복이 장시간 유지될 경우위산과 담즙이 과다 분비됨에 따라위점막이 자극되어 발생되기에
식사의 빈도를 조금 늘려보거나
중간중간 놀이 활동, 훈련에 대한
보상으로써 사료를 제공하여
반려견의 공복 유지 시간을 줄여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실상 공복 토 자체는 굉장히 자연스러운 현상이기에
일시적일 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너무 빈번하게 발생될 경우
식도 나 위에 무리를 야기, 식도염, 위염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에
주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2. 스트레스
사회성이 다소 떨어지거나
예민한 성격을 가진 강아지들은
아주 작은 환경의 변화에도
강아지 노란 토 증상을 보일 수 있는데요
극심한 불안,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체내에서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호르몬이 나와
위산의 과다 분비를 촉진시키게 되고
이는 강아지의 위벽을 자극합니다
그러면서 노란색 거품토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는 반려견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노즈워크 놀이, 산책 활동을 충분히 함께해 주세요.
3. 소화장애
강아지의 소화 기능이 저하된 상태이거나
혹은 먹어서는 안되는 이물질을 섭취해
위장에 문제가 생긴 경우 구토 증상이 나타나기 쉬운데요
이때는 위장에 무리가 가지 않는
부드러운 음식을 급여하거나
소화하기 편안하게
사료를 물에 불려 급여해 주셔도 좋겠구요
만약 이물질 섭취가 의심되고
복통, 혈변, 설사, 무기력증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강아지 장폐색을 의심해 볼 수 있기에
즉시 동물 병원을 방문해 엑스선 검사를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4. 알레르기
식이 알레르기나 먼지, 꽃가루와 같은 환경 알레르기에 대한
반응으로도 노란색 구토가 발생될 수 있는데요
반려견이 육류, 채소, 과일 등
평상시 섭취하지 않던 음식물을 섭취하였거나
사료를 변경한 뒤에 해당 증상이 보인다면
병원 방문을 통해 알레르기 반응 검사를 진행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는 반려견의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쉽게 나타날 수 있기에
알레르기 치료와 동시에 면역체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적정량의 운동, 건강기능식품을 챙겨주셔도 좋습니다.
밥을 안 먹고 강아지가 공복토를 자주 한다면
보호자님들께서 많은 걱정이 되실 것 같은데요
아이들이 사료를 거부하는 다양한 이유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1. 질병에 노출됐어요
사람도 몸이 아프면 입맛이 떨어지듯이
우리 강아지들도 질병에 노출될 경우
사료를 거부하는 모습이 보일 수 있습니다.
평상시 사료를 잘 먹던 아이가
갑작스럽게 밥을 먹지 않고 무기력증, 구토, 설사 등의 증상까지 동반된다면
위장질환, 내분비계 질환, 바이러스성 질환을 의심하고 반려견의 건강 상태를 체크해 주세요.
2. 불안함을 느끼고 있어요
사람도 극도의 긴장감과 공포감을 느끼면
식사에 대한 욕구가 사라지듯이
우리 강아지들도 불안함을 느낄 때 사료를 거부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보호자와 분리되는 순간에 불안함을 느끼는
강아지 분리불안을 겪고 있다면 보호자가 외출한 시간 동안
식사나, 물, 평상시 좋아하던 간식까지 먹지 않으려고 하는데요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자극들에 노출시키는
사회성 향상 교육과 보호자와 분리되는 연습을 하는
독립심 향상 교육을 시켜주신다면
성견이 돼서 다양한 환경에서도 두려움보다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편식을 해요
보호자님이 주셨던 맛있는 간식, 혹은 특식을 먹고 난 뒤
강아지가 밥을 안 먹을 때 이는 편식에 의한 행동일 수 있는데요
편식에 대한 식습관 개선을 위해선
사료 외의 다른 것을 급여하는 행동은 자제해 주셔야 합니다
식사 급여 역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양만 주는
제한 급식 시스템으로써 올바른 식습관을 재형성해 주셔야 합니다.
4. 사료가 맛이 없어요
사람이 각기 다른 입맛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아무리 유명한 사료라도 우리 아이 입맛에는 맞지 않을 수 있는데요
만약 사료를 변경하는 상황에서
강아지가 식사 거부를 한다면 한꺼번에 모두 변경하려 하기보다는
소량씩 기존 사료에 섞어가며 변경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잘 먹던 사료도 질리거나 맛이 없게 느낄 수 있기에여러 사료 샘플을 구매해 우리 아이의 기호성에 맞는 제품을 골라 주셔도 좋습니다.
5. 활동량이 부족해요
강아지가 밥을 안 먹을 때 활동량 부족도 의심해 보셔야 하는데요
소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배고픔을 느끼지 않게 되면
식사를 거부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그로 인해 강아지 노란 토 빈도가 늘어나게 됩니다.
이때는 적정량의 산책이나
실내 놀이 활동을 함께해 줌으로써
반려견의 식욕이 돌아올수 있게끔 도와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